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살며 생각하며] 계란의 편에 서리

 일본 영화 ‘Drive My Car’가 지난 일요일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우수 국제영화상을 받았다. 이 영화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 소설을 각색한 영화이다. 일본의 대표적 작가인 그가 예루살렘 상을 받은 2009년은 이스라엘이 가자 지구 폭격으로 많은 비난을 받고 있을 때였다. 언어의 귀재인 그의 수상 연설이 잊히지 않는다.   이후 ‘벽과 계란’이라는 제목으로 유명해진 이 연설에서 그는, “이번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가자 지구의 폭격과 전투로 피해를 본 것은 아이들과 노인과 같은 일반시민들이었습니다. 저는 전쟁을 옹호하지 않습니다. 높고 단단한 벽과 그 벽에 부딪혀 깨지는 계란이 있다면, 저는 언제나 계란 편에 서겠습니다”라고 말함으로 어쩌면 그에게 상을 준 이스라엘 정부를 훈육하는 메시지를 전했다.   지금 계란이 벽과 싸우고 있다. 음악을 사랑하고 평화를 사랑하는 우크라이나라는 작은 계란이, 거대한 조폭 같은 러시아라는 벽과 싸우고 있다. 그 와중에 어린 러시아 병사의 허기를 빵과 차로 달래주고 엄마와 영상통화까지 연결해주는 우크라이나 사람들〔〈【, 엄마 얼굴에 기어이 울음을 터뜨리는 러시아 병사를 보며 함께 눈물을 훔치는 이 선량한 백성들】〉〕이, 맨몸으로 달려들어 군용트럭을 막고 탱크를 막으며 나라를 지키고 있다.     20세기도 아니고 21세기인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푸틴이라는 한 미치광이 때문에 평화롭게 살던 한 나라가 폐허가 되고 국민의 4분의 1이 난민이 되었다. 엉겁결에 평화유지군으로 알고 나왔다 상부 명령으로 전쟁에 휘말린 러시아 군인들이 대부분이라고 하니 그들도 안타깝다. 그러기에, 폭격하라는 명령에 민간인이 대피하기까지 그럴 수 없다고 항명하는 대화나, 천천히 가고 있다는 말에 더 빨리 진군하라며 욕을 해대는 러시아 군 상관 소리를 도청한 파일을 들을 때 분노가 치민다.   하지만, 이 어이없는 우크라이나의 재난이 지금 지구촌 사람들의 선의를 결집하고 있다. 여러 나라 수만의 용병이 우크라이나로 모여들었다. 얼마 전 뉴스에서 캐나다에서 온 한 젊은이를 보았다. 총 쏠 줄도 모르는 그, 둥그런 고무로 된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고칠 수 있다며, 자신의 타이어 수리 기술로 전쟁을 돕겠다고 사지로 왔다. 난민들을 운전해주러, 음식 만들어 주러, 댄스 클래스로 위로해주러, 아니 뭐든지 하겠다고 모여드는 사람들. 집을 개방해 15명의 난민을 품어 준 혼자 살던 루마니아 할머니가 구글 번역 앱으로 우크라이나 사람들과 대화하며 웃는 모습은 눈물 나도록 정겹다.     폐허가 된 마을에, 텅 빈 호텔에, 피란민으로 북적대는 기차역에, 피아노 소리가 들린다. 바이올린 소리도 들린다. 전쟁 통에도 피아노를 광장에 내놓고, 대피소에서도 콘서트를 열면서 음악으로 격려하고 위로하는 이 나라, 방공호에서 의자에 올라가 어려움을 이겨내겠다는 용기의 메시지가 들어 있는 영화 겨울왕국의 ‘Let It Go’를 부르는 어밀리아의 영상은 이미 수천만 번 조회되며 전 세계에 감동을 주었다. 정말 멋진 국민이다. 그 대통령에 그 국민이다.     무라카미 하루키는 3월 18일 도쿄 FM 라디오 방송 일일 디제이로 나서, 본인이 가지고 있던 ‘Never Die Young’ ‘Imagine’ 같은 음악들을 해석과 더불어 틀어주며 반전 메시지를 전했다. 수도 키이우 시내 진입을 막아낸 데 이어, 리조트 시티인 오데사도 탈환했다는 소식이 들리는 아침이다. 한 달이 넘도록, 계란이 바위를 막아내고 있다. 김선주 / NJ 케어플러스 심리치료사살며 생각하며 계란 서리 러시아 병사 최우수 국제영화상 우크라이나 사람들

2022-03-30

[이 아침에] 전쟁과 노래

‘한강’이란 노래를 들으면 6.25 당시의 한강의 모습을 상상하게 된다. 1.4후퇴 때 방송국 소속 공무원이던 최병호는 한강 인도교가 폭파되기 전 정부가 마련한 마지막 열차를 타고 피란지 부산으로 향했다. 당시 결빙된 마포강을 건너는 피란 행렬이 장사진을 이루었다고 한다.     그는 1952년 피란지 방송국에 근무하던 중 서울을 그리워하며 ‘한강’을 직접 작사·작곡했다. ‘한 많은 강가에 늘어진 버들가지는/ 어젯밤 이슬비에 목메어 우는구나/ 떠나간 그 옛님은 언제나 오나….’ 이 노래는 가수 심연옥이 불러서 크게 유명해졌다. 심연옥은 미국으로 이민 와서 작년 10월 뉴욕에서 93세로 작고했는데 새소리 같이 맑고 물소리 같이 투명한 목소리는 한강물 같이 사람들 마음 속에 길이 아름답게 흘러갈 것이다.     6.25 당시 한반도는 전쟁터가 되어 낙동강 방어선 전투에서의 치열한 격전 끝에 전선의 방향이 바뀌었다. 11월 중공군이 개입했지만 미 제1해병사단의 분전으로 장진호 전투가 마무리 됐다.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이 이루어지기까지 사투했던 전사의 피는 한반도 산하에 스며들었다. 이역에 가서 잠든 유엔군과 국군의 산화는 말할 것도 없고 학도병들의 순국 또한 아픈 역사의 한 부분으로 남아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전투가 계속되고 있다. 우크라이나인들의 결사 항전의 의지가 대단함을 볼 수 있다.     얼마 전  우크라이나 침공에 투입됐다가 사망한 러시아 병사는 휴대폰에  “어머니에게… 그들은 우리 장갑차 아래 쓰러지고 있어요. 그들은 자신을 내던져 우리가 지나가는 걸 막고 있어요… 엄마, 정말 힘들어요”라는 내용을 남겼다.     우크라이나의 체르니히우에서는 전투기 추락으로 부상을 입은 러시아 조종사들이 “푸틴 명령에 따랐을 뿐, 제발 살려달라”고 애원했고, 폭파 지도를 소지한 또 다른 조종사도 “비행 명령을 받았을 뿐”이라고 주장했다고 한다. 러시아군에 포위된 마리우폴에서는 최소 1170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고 한다. 전쟁이 계속될수록 민간인 희생자는 더 많아질 것이고 명령을 실행하다 죽어간 병사들의 묘비 또한 줄을 이을 것이다.     차라리 군복을 벗어던지고 히피족처럼 팔을 들어올리며 노래하는 광기라도 한 번 부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60년대 스콧 맥켄지가 불렀던 ‘샌프란시스코’를 들으면 반전운동을 근간으로 폭력과 억압에 저항하며 인간성 회복을 부르짖던 젊은 혈기를 느끼곤 한다.     수많은 인명이 살상되는 전쟁의 와중에도 사람들이 노래에 감정을 의탁하는 것은 비장미(悲壯美)에 그 근원을 두었을까? 얼마나 아이러니한가? 전쟁터의 참혹한 실상과는 딴판으로 음악적 리듬에 매몰되어감은 현실적 비극에 따른 절망을 넘어서기 위한 예술적 방편이라고 해야 할까. 권정순 / 전직 교사이 아침에 전쟁 노래 우크라이나 침공 러시아 조종사들 러시아 병사

2022-03-1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